
- 농업직 공무원(5급 7급 9급)
- 농업과학 연구원 (농촌 진흥청 산하 연구소)
- 농약 및 종묘회사, 기후변화전문가, 농업기술자
- 바이오산업 및 식품회사, 바이오의약품연구원, 변리사
- 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자, 생물분자유전연구원
-
- 국가직 농업직 공무원 발령 기관 – 5,7,9급 공무원, 농업연구사, 농촌지도사
-
-
- 농림축산식품부 https://www.mafra.go.kr/
- 농산ㆍ 축산, 식량ㆍ농지ㆍ수리, 식품산업진흥, 농촌개발 및 농산물 유통에 관한 사무를 주도하는 기관이다. ⓵식량의 안정적 공급과 농산물에 대한 품질관리, ⓶농업인의 소득 및 경영안정과 복지증진, ⓷농업의 경쟁력 향상과 관련 산업의 육성, ⓸농촌지역 개발 및 국제 농업 통상협력 등에 관한 사항, ⓹식품산업의 진흥 및 농산물의 유통과 가격 안정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
- 농촌진흥청 https://www.rda.go.kr
- 국가의 기본 산업인 농업의 발전과 농업인의 복지향상 및 농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업·농업인·농촌과 관련된 과학기술의 연구개발·보급, 농촌지도, 교육훈련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을 추진함으로써 농촌지역의 진흥과 국가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총 6개의 기관이 소속되어 있다.
-
-
- 농촌진흥청 소속기관
-
-
- 국립농업과학원 http://www.naas.go.kr/
- 국립농업과학원은 열린 혁신연구와 창의‧융복합 연구로 농산업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이끄는 농업연구 중심기관이다.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보전 및 농촌자원 가치 창출, 농업생물자원의 고부가 신소재 이용기술 개발,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병해충 · 잡초 종합관리기반 구축, 농업생산 자동화, 에너지 절감 기반기술 개발, 농업생명공학기술 활용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 농업유전자원 다양성 확보 및 국가종합관리체계 구축 등의 임무를 갖고 있다.
-
- 국립식량과학원 http://www.nics.go.kr/
- 국립식량과학원은 식량작물, 사료작물, 풋거름작물, 바이오 에너지작물 등의 품종 개량, 재배법 개선, 생산환경 및 품질보전에 관한 시험. 연구와 기술지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있다. 다음의 세 가지 목표를 표명한다. ⓵품종개발(재해 안전, 신수요 맞춤 품종육성), ⓶재배기술 (DNA 기반의 편리, 정밀, 자동화 안정 생산기술개발), ⓷가치향상(식량작물 기능성 유용성분 대량생산, 원료 표준화 및 실용화)
-
-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https://hrd.rda.go.kr/
- 전국 농촌진흥공무원의 전문·직무교육을 직접 추진하면서, 농촌진흥청과 각 지역의 도원 및 센터를 연결하고 있다.
-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https://www.nihhs.go.kr/
- 원예특작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채소·과수·화훼·인삼·약초·버섯류 등 원예특용작물 기술 개발 및 지원을 목표로 한다. 주요 역할로는 로열티 대응 신품종 개발(품종개량·육종기술) 및 보급, 수급안정·수출지원 수확 후 관리 및 유통 중 품질보전기술 개발, 친환경 고품질 안전생산 및 병해충 예방·방제 연구 등이 있다.
-
-
- 농진청 산하 사업단
-
-
-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KOPIA https://hrd.rda.go.kr/
- 개발도상국 현지에 KOPIA 센터를 설치하고 농업기술 전문가를 소장으로 파견하여 국가별 맞춤형 농업기술을 개발·실증·보급하는 사업으로 농업 생산성 향상으로 소농의 소득 증진을 목표로 한다.
-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https://www.naqs.go.kr/
- 농업인에게 안정적 소득 지원, 국민에게 안전한 농식품 공급을 목표로 하는 기관이다. 농식품 인증, 안전성 조사, 원산지 관리, 품질검사, 유기농업자재, 농업경영체 관리, 공익직불제 관리를 하고 있다.
-
- 국립종자원 https://www.seed.go.kr/
- 종자생명산업 발전을 통한 국부창출과 미래 농업을 선도하는 종자전문 서비스 기관이다. 민간육종가 개발 신품종을 실용화하고 정부 보급종을 공급하며, 품종보호 출원과 국제인증 종자검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지방직 공무원
-
-
- 지방직 공무원
- 각 시도의 농업기술센터 및 사업소
-
-
- 국제협력기관
-
-
-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AFACI(afaci.org)
-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는 지식 및 기술 이전과 공유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의 식량 생산 향상과 지속 가능한 농업 증진을 목표로 하는 정부간, 다자간 협력 기구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AFCI는 다자간 프로젝트, 국제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및 심포지엄을 수행, 관리하며 자금을 지원한다.
-
-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AFACI(kafaci.org)
-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는 농업기술에 대한 지식과 정보 공유를 통해 식량 생산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달성하며 아프리카 국가들의 서비스 확대를 목표로 하는 정부간 및 다자간 협력기구이다.
-
- 한-중남미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oLFACI(kolfaci.org)
- 한-중남미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는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농업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농업기술 및 확장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데 초점을 맞춘 다자간 협력기구이다.
-
-
- 공기업 (재단)
-
-
-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 https://www.at.or.kr/ - 수출과 유통을 통해 미래 농식품 산업을 주도하는 공기업이다.
-
한국농수산식품
-
- 한국농어촌공사 http://www.ekr.or.kr
- 한국농어촌공사는 국민의 먹을거리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농정 최일선 기관으로, 농업생산성 증진, 환경친화적 농어촌정비, 농업기반시설 종합관리, 농어업 소득증대 및 경쟁력 강화, 영농규모의 적정화 및 농지이용의 효율성 증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 KT&G (전 한국담배인삼공사) https://www.ktng.com/
- KT&G는 담배를 제조·판매하는 대한민국의 민영 기업으로, 담배 제품 외에도 홍삼 건강기능식품, 식음료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BIO 및 Health & Beauty 사업을 하고 있다.
-
-
농림수산식품교육
문화정보원 epis.or.kr - 농업경영 혁신과 농촌가치 확산을 위한 농식품 서비스 전문기관이다. 총 5개의 본부로 이루어져 있다: 인재양성본부, 농식품소비본부, 지식융합본부, 국제통상협력처, 귀농귀촌종합센터
-
농림수산식품교육
-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https://www.fact.or.kr/
-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농생명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의 실용화를 전담하는 준 정부기관으로 농식품산업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지원한다. 농업기술경영을 통한 농산업 육성·지원 전문기관으로 농업 R&D 성과를 농업경영체, 농식품기업 등에 전파하여 농산업의 규모화와 산업화를 촉진하고 농업 경쟁력 향상과 농업발전을 목표로 한다.
-
- 농어촌희망재단 http://www.rhof.or.kr/
- 농어촌 농어업의 발전을 위해 농업인의 복지사업 및 농어업인 자녀의 장학사업, 농어촌 문화사업 등을 지원함으로써 농어촌 사회의 인재양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 농협 https://www.nonghyup.com/
- 농협은 농업인이 중심이 되는 자주적 협동조직으로서 대한민국의 농업과 농촌을 지원하기 위해 출범한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다. 교육지원사업, 농업경제사업, 축산경제사업, 금융사업 부문에서 농업인과 지역사회를 지원하고 있다.
-
-
- 기업체 - <스마트팜>
-
-
- N.THING https://nthing.net/
-
엔씽은 IT 기술과 데이터로 농식품테크 시장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나아가 글로벌 푸드 밸류체인을 혁신하고자 한다.
환경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농업 산업에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주는 인터넷 기술을 결합해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나 깨끗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
- Farm8 http://www.farm8.co.kr/
- Farm8은 미래원의 재도약을 위한 새로운 사명이자 미래식문화 대표 브랜드 이다. 새싹채소 생산공장, 시설재배 하우스, 식물공장, 농산물가공 및 포장시설, 첨단물류센터를 준공하여 다양한 먹거리들을 공급하고 있다.
-
- FIRMMIT http://www.firmmit.com/
- 컨테이너 딸기 농장, 한국형 스마트팜, 스마트 모듈 재배기, 가정용 수경재배기, 아쿠아 포닉스등 다양한 재배 방법으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유통하고 있다.
-
-
- 기업체 - <종자 기업>
-
-
- 농우바이오 http://nongwoobio.nonghyup.com/
-
농우바이오는 농업의 근간이 되는 종자를 육종하고 소비자 요구에 적합한 신품종을 개발, 보급하는 농업인의 지속적인 소득 증대를 위해 재배 안정성과 수량성이 뛰어난 우량 품종 개발과 유통종자의 국산화에 힘쓰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개발 활동과 소비자 경향을 반영한 내병성 및 기능성 품종 육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고 있다.
더불어 고품질 상토, 비료 및 농업의 친환경 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토양개량제인 바이오차(Bio-Char) 기술 개발과 보급 확대로 농업인의 상품 경쟁력 향상에도 적극 기여하고 있다.
-
- 몬산토 코리아 https://www.bayer.com/en/
-
몬산토는 2018년 6월 독일의 바이엘에 인수된 미국의 농업생물공학 기업이다.
종자개발, 생명공학기술 개발 등의 농업솔루션을 제공하는 다국적 농업기업이다.
-
- 동부 팜한농 https://www.farmhannong.com/
-
팜한농은 그린바이오 기업이다.
작물보호제, 종자, 비료 등 농업용 핵심 자재 분야를 선도하며, 농업 생산성 증대와 안전한 먹거리 공급에 이바지하고 있다.
-
- 신젠타 코리아 https://www.syngenta.co.kr/
- 신젠타는 작물보호사업에서는 세계 1위, 종묘사업에서는 세계 3위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농업인과 작물 중심의 새로운 전략인 통합작물솔루션(Integrated Crop Solution)을 바탕으로 전세계적으로 작물보호사업 부문과 종묘사업 두 부문을 통합하였다.
-
- 코레곤 https://www.koregon.com/ko/
- 코레곤은 근채류, 엽채류, 과채류를 중심으로 하는 신품종 육성을 기반으로 국내 농업인과 소비자를 위한 건강하고 좋은 먹거리의 시작이 되는 종자를 제공하고 세계적인 종자 회사로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세계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
- 권농종묘 https://kwonnong.com/
- 권농종묘는 상추 및 다양한 쌈 채소 분야에서 끊임없는 연구와 투자를 진행중이다. 상추에서만 50여 품종을 개발하였으며, 무, 고추, 당근 등의 분야에서도 연구했고, 몇몇 품종은 시장에서 품질의 탁월성을 인정받고 있다.
-
-
- 기업체 - <의약>
-
-
- 종근당 http://www.ckdpharm.com/
-
종근당은 ‘세상에 없던 신약(First-in-Class)’과 ‘미충족 수요(Unmet Needs) 의약품’으로 난치병과 불치병, 희귀질환을 정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설립된 중앙연구소에서 오늘날 효종연구소에 이르기까지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투자로 최상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종근당.
신약은 물론 차별화된 기술에 우위를 둔 개량신약,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바이오의약품까지 종근당의 혁신적인 신약 파이프라인은 세계를 향하고 있습니다.
-
- 농약 및 종묘회사, 기후변화전문가, 농업기술자
- 바이오산업 및 식품회사, 바이오의약품연구원, 변리사
- 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자, 생물분자유전연구원